<번역문>

 

公의 휘는 광보(光輔)요 자(字)는 운지로 동래정씨이다. 동래정씨가 크게 드러나게 된 것은 고려조에서 좌복야를 지내신 휘 목(穆)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8代에 이르러 휘 구령(龜齡)이 계시니 벼슬은 결성현감을 역임하셨다. 이 어른이 휘 사(賜)를 낳으시니 집현전직제학으로 계시다가 부모 봉양을 위하여 진주목사로 나아가셨다. 이 어른이 휘 난종(蘭宗)을 두셨는데 과거에 네 번이나 급제하시고 좌리공신으로 이름난 장상(將相)이 되어 시호(諡號)가 익혜(翼惠)로 추증되었으며 필법(筆法)이 당대에 으뜸으로 어린아이들이나 하인배 까지도 모두 그 명성을 알고 있었으니 公이 곧 이 어른의 큰 아드님이시고, 지금 영추공 광필(光弼)이 의정부 영의정으로 조야(朝野)에서 모두 믿고 의지하며 귀감(龜鑑)으로 삼아 우러러보니 이 분이 바로 公의 다음 아우가 된다.

 

公이 어려서부터 과거(科擧) 공부를 익혀 여러 번 도전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끝내 문벌(門閥)의 음덕으로 관직에 나아가 공적(功績)을 쌓아 여러 차례 승진되어 통정대부(正三品)의 품계에 이르렀다. 公의 중앙관직으로는 와서별제에 임명되고 주부(主簿) 벼슬을 세 번 했으니, 즉 사제감·종부시군자감과 사헌부감찰에 두 번 임명되었다. 장원서별제·평시서령·장예원사의·종친부전부 등을 역임하시고 첨정이 되어 세 가지 직책에 임명되시니 즉 장악원과 예빈시제용감·통덕원봉례이고 외직(外職)으로는 즉 연산현감과 평양부판관이고, 군수를 역임하신 것이 다섯 번이니, 즉 정선·풍기·금산·순창·초계요. 부사(府使)를 역임하신 것이 두 번이니 창원과 연안이다. 公의 품계(品階)가 네 번이나 바뀌어 당상(堂上)의 품계에 오르는 동안 거쳐 온 고을이 아홉 곳에 이르니 비록 크게 영달하였다고는 말할 수 없어도 그 또한 세상에  크게 들어날 일이로다. 公은 타고난 성품이 방정하고 엄격하시어 관직에 계실 때 공사(公私)가 분명하여 사사로운 일에는 스스로 뒤돌아보지 않으시니 그것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이 이를 빌미로 헐뜯는 사람들이 있었으나 소신에 대하여 조금도 후회하지 않으셨다.

 

公께서 벼슬을 그만둘 나이가 아닌데도 관직을 버리고 의령 자굴산 아래에 물러나 거처하면서 여생을 마칠 계획을 세우시니 부제학(士龍)군이 매번 찾아 뵙고 보살펴 드리고 싶어도 맡은 중임 때문에 오랫동안 슬하에서 모시지 못하고 친구들이 公에게 조정에 돌아오기를 다투어 권하여도 듣지 않고 영추부공(光弼)이 또다시 형제의 우애로 간절히 만류를 청하는 편지가 연달아 이어졌으나 끝내 듣지 않았으니 公의 집념이 대개 이와 같았다. 公의 병환에 제학(士龍)군이 조정에 청하여 급히 말을 달려 돌아와 약을 달여 드렸으나 끝내 효력없이 1524(中宗19)년 3월 9일에 돌아가시니 향년 68세이다. 아! 슬프다. 여러 상주들이 운구를 받들어 광주 성달리에 장사지내니 선영(先塋)이 계신 곳이다.

 

公의 배위는 전의이씨 대호군 삼격공의 따님으로 公보다 26년 먼저 돌아가셨다. 슬하에 4남4녀를 두셨는데 장남 한룡(漢龍)은 수원판관을 지냈고, 차남 사룡(士龍)은 부제학으로 나이 19세에 과거에 오르고 또 중시(重試)에 장원으로 뽑히어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고, 3남 원룡(元龍)은 진사이고 막내 언룡(彦龍)은 의금부도사를 지냈다. 장녀는 감찰 이희업에게 출가하였고 차녀는 유학(幼學) 박종상에게 출가하였으며 3녀는 부장 이윤우에게 출가하고 막내는 평사 이응에게 출가하였다. 판관 한룡이 참봉 유계근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4남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순우(純祐)·순지(純祉)·순복(純福)·순호(純祜)이고. 제학 사룡은 부장 성열의 따님에게 장가들었고, 진사 언룡은 호군 박진의 따님에게 장가들었으며 도사 언룡은 부사 이희옹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아들 하나를 낳았으니 순하(純嘏)이다. 감찰 이희업은 2남2녀를 두었는데 아들 안국과 안방 둘 다 사복(司僕)을 지냈고 딸은 남응규에게 출가했으며 평사 이응은 아들 형제를 두었는데 양정과 빈정이다.

 

장례를 치른 며칠 후에 제학군이 나(李荇)에게 지기(知己)의 친분이 있다 하여 公의 행장을 가지고 와서 나에게 묘갈명(墓碣銘)을 청하여 곧 묘도(墓道)에 비석을 세우려고 한다 하니 어찌  감히 허락하여 명(銘)을 짓지 않으리요.

명(銘)에 이르기를

 

   公의 선조는 고려조에 공적을 떨쳐 벼슬이 복야(僕射)로 당시에 명망이 높아 졌도다.

   덕(德)을 쌓아 온 유래가 길고 길어 복록(福祿)을 누림도 오래 가리로다.

   제학이 부모를 모시고자 영화(榮華)를 버리고 먼 고을 목사(牧使)되어 안색도 기쁘게 잘도 봉양(奉養)하였도다.

   쉼 없이 쌓은 덕(德)은 영광이 후손에 이르렀도다.

   익혜공이 이를 거두니 이치에 한치 어긋남이 없도다.

   과거로 발탁되고 좌리공훈에 책봉되어 승상이 되었도다.

   혹은 장수, 혹은 재상으로 출입함에 모두 마땅하였는데

   무엇으로 증명하리오 승상에 말로서 알 수 있도다.

   公은 그의 장자로 그 누림 또한 성대하니 영추는 아우요 제학은 아들이로다.

   가문이 크게 번성하고 현귀하니 보는 이 듣는 이 부러워 하도다.

   당상(堂上)의 위계(位階)가 지위로도 낮지 아니하고

   아홉 고을 수령을 어찌 관운이 기이하다 하리요 만

   늙을 수록 더욱 항직(亢直:강직)하여 세상과 배치(背馳)되니

   자굴산 기슭과 정진(鼎津)의 물가여

   이 곳이 나의 즐거운 장소이니 돌아감에 무엇을 의심하리요.

   내 이웃 내 마을에서 혹은 술로 혹은 바둑으로

   구릉에서 나물 캐고 방죽에서 낚시하며

   세상을 뜰 때까지 한가히 노닐면서 백세를 기약하더니

   대운(大運)은 오래 머무르지 않아 단 한 번의 질병에 의원도 손을 놓으니 맑고

   푸른 말없는 저 하늘이여 어찌 그리 급히 여기에 이르도록 하였는고.

   여경(餘慶)이 자손에게 돌아가서  끝내 우리를 속이지 않으리라.

   광주(廣州)의 언덕에 소나무, 가래나무가 아름답고 무성하니

   어찌 새로운 유택(幽宅)지가 없으리요.

   할아버지 아버지께서 우리를 생각하심이여  

   이 곳에 公의 유택을 마련함은 선영(先塋)이 이 곳에 있기 때문일세

   이 묘석에 비문 새겨 公의 업적 소상히 명시하여 무너짐이 없게 하리라!

 

묘소는 화성군 반월면 속달리 친영(親塋) 뒤 자좌원 쌍분이며 묘갈(墓 碣)은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 이행(李荇)이 글을 짓고 가선대부 형조참판(嘉善大夫刑曹參判) 성세창(成世昌)이 글을 썼다.

 

1525년(嘉靖四 乙酉) 8월에 세움.

 

 

<원문>

 

有明朝鮮國通政大夫行昌原都護府使金海鎭管兵馬同僉節制使 鄭公光輔墓碣銘

 

公의 諱는 光輔요 字는 運之니 東萊鄭氏라 其顯이 自高麗左僕射諱穆으로 始하야 其後至八代하야 有諱龜齡하니 仕終結城縣監하고 縣監이 生諱賜하니 以集賢殿直提學으로 爲養하야 出補晋州牧使하고 生諱蘭宗하니 四捷 科第하고 叅佐理勳爲名將相하야 贈諡翼惠하니 筆法이 擅一世하야 雖兒 童走卒이라도 皆知其名하니 公은 卽其胄子也-라 今領樞公光弼이 位經議政 府領議政하야 朝野-方倚以位蓍蔡하니 於公에 位次-라 公이 少習擧 子業하야 累見屈하고 竟以門蔭으로 出身하야 積功課하야 累皆至通政하니 其京官은 則位瓦署別提하고 爲主簿者-三이니 曰司宰監宗簿寺軍資監이오 再爲司憲府監察하고 爲掌苑署別提平市署令掌隷院司儀宗親簿典簿하고 爲僉正者-三이니 曰掌樂院禮賓寺 濟用監하고 爲通德院奉禮하고 其外任은 則爲延山縣監하고 爲平壤府判官하고 爲郡守者-五-니 曰旌善과 豊基와 錦山과 淳昌과 草溪오 爲府使者-二니 昌原과 延安이라 功이 四轉品而至堂上階하야 歷踐外邑者-至於九하니 雖不可謂大達이나 其亦顯矣哉로다 公은 天性이 方嚴하야 居官에 務奉職不自顧하니 其不喜者-用是 爲詆毁나 然이나 亦不少悔也-리라 年未至棄官하야 退居于宜寧闍 崛山之下하야 爲終焉之計할새 副提學君이 每請告省謁호대 以經幄重任으로 不能長 待膝下하고 親舊-競勸公還朝호대 不聽하며 領樞府公이 亦惟友云之切하야 走書請이 前後相繼호대 終不能得也하니 其執性이 盖如是云이러니 公之疾에 提學君이 請諸朝하야 馳驛歸侍藥호대 竟不效하고 以甲申三月初九日로 終하니 享年이 六十八이라 嗚呼哀哉라 諸孤-奉其樞하고 返葬于廣州省達里하니 從先兆也-리라 公의 配는 全義李氏大護軍三格之女-이니 先公二十六年歿하다 生四男四女하니 長은 漢龍이니 水原 判官이오 次는 士龍이니 卽副提學君이니 年이 十九에 登第하고 又擢重試狀頭하야 方以文章으로 名하고 次는 元龍이니 進士요 次는 彦龍이니 義禁府都事요 女의 長은 適監察李熙業하고 次는 適幼學朴從庠하고 次는 適部將李允耦하고 次는 適評事李膺하고 判官이 娶叅奉柳繼根之女하야 生四男一女하니 男은 純祐와 純祉와 純福과 純祜요 提學이 娶部將成烈之女하고 進士-娶護軍朴軫之女하고 都事-娶府使李希雍之女하야 生一男하니 純嘏오 監察이 生二男二女하니 男은 安國이오 次의 安邦은 兼司僕이오 女는 適南應奎하고 評事-生二男하니 楊廷과 賓廷이라 葬有日에 提學君이 於余에 有知己之分이리니 以狀으로 徵余文하야 將表諸墓道하니 敢不諾而銘之리오 詞曰公之祖先이 奮庸高麗하야 爵爲僕射하야 望隆一時리라 厥緖聯聯하야 施厚福遲로다 提學爲親을 棄榮若遺하고 屈牧遠州하야 色養怡怡하니 積德不食이 惟後之貽니 翼惠是收-理無叅差로다 擢科策勳하야 若或 相之하니 或將或相에 出入咸宜로다 何以爲證고 丞相之辭-로다 公其胄子로 享有堂菑하니 領樞-是弟오 提學이 吾兒로다 族大以貴하니 觀聽이 嗟咨로다 堂上之班이 位則不卑하고 九邑之長이 數豈云奇리오 老而彌亢하야 與世背馳하니 闍崛之麓과 鼎津之淆-是維樂地이니 歸歟何疑리오 我鄰我里에 或樽或碁로다 採有陵丘하고 釣有陂池하야 卒世優遊에 曰期曰頤리니 大運이 不留하야 一疾이 未醫하니 謂蒼昭昭-胡遽至斯오 餘慶이 有歸하야 終不我欺로다 廣州之原에 松梓猗猗하니 豈無新阡이리오마는 祖考-我思로다. 返葬於是하니 先兆在玆로다 刻此墓石하야 昭示無隳 하리다.

 

    一五二五年(嘉靖四年乙酉) 八月   日立石

崇政大夫 議政府左贊成兼經筵事 弘文館大提學 春秋館成均館事 世子二師 李荇은 撰하노라.

嘉善大夫 刑曹參判 成世昌은 書하노라.